박스오피스 기준으로 세계 대형 영화 시장 중 하나로 매출 금액 기준으로 북미를 제외한 국가들 중에 2018년 세계 5위 시장이다. 미국 달러화로 보통 15억~16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는 중이다. 1인당 평균 연간 극장 관람 횟수는 약 4회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. 영화관 스크린 개수는 2017년 10월 기준 2,804개. 일본의 3,472개 스크린 대비 600개 정도 적지만 한국보다 2배가 넘게 인구가 많은 일본의 인구수를 감안하면 오히려 한국이 더 많은 편이다. 한국은 스크린 1개당 담당 인구가 1만 명대 후반으로 세계 10대 영화 시장 중 최소급이다. 즉, 1인당 관람 횟수가 많아서 스크린이 많이 설치되었다는 것.
순위 | 영화명 | 개봉일 | 매출액 | 관객수 | 스크린수 |
1 | 명량 | 2014-07-30 | 135,748,398,910 | 17,613,682 | 1,587 |
2 | 극한직업 | 2019-01-23 | 139,647,979,516 | 16,264,944 | 1,978 |
3 | 신과함께-죄와 벌 | 2017-12-20 | 115,698,654,137 | 14,410,754 | 1,912 |
4 | 국제시장 | 2014-12-17 | 110,913,469,630 | 14,257,115 | 966 |
5 | 어벤져스: 엔드게임 | 2019-04-24 | 122,182,694,160 | 13,934,592 | 2,835 |
6 | 겨울왕국 2 | 2019-11-21 | 114,810,421,450 | 13,747,792 | 2,648 |
7 | 아바타 | 2009-12-17 | 128,447,097,523 | 13,624,328 | 912 |
8 | 베테랑 | 2015-08-05 | 105,168,155,250 | 13,414,009 | 1,064 |
9 | 괴물 | 2006-07-27 | 0 | 13,019,740 | 167 |
10 | 도둑들 | 2012-07-25 | 93,665,568,500 | 12,983,330 | 1,072 |
[공식통계]는 영진위에서 매년 발표하는 '한국영화연감'의 영화별 흥행기록을 참고한 것입니다.
한국영화연감(1971~2010) 통계를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며, 2011년부터는 통합전산망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(매월, 매년)로 마감처리하여 산출되는 통계정보입니다.
순위 | 영화명 | 개봉일 | 매출액 | 관객수 | 스크린수 |
1 | 어벤져스: 엔드게임 | 2019-04-24 | 122,182,694,160 | 13,934,592 | 2,835 |
2 | 겨울왕국 2 | 2019-11-21 | 114,810,421,450 | 13,747,792 | 2,648 |
3 | 아바타 | 2009-12-17 | 128,447,097,523 | 13,624,328 | 912 |
4 | 알라딘 | 2019-05-23 | 106,983,620,359 | 12,555,894 | 1,311 |
5 | 어벤져스: 인피니티 워 | 2018-04-25 | 99,919,006,769 | 11,211,880 | 2,553 |
6 | 어벤져스: 에이지 오브 울트론 | 2015-04-23 | 88,582,586,366 | 10,494,499 | 1,843 |
7 | 겨울왕국 | 2014-01-16 | 82,461,504,400 | 10,296,101 | 1,010 |
8 | 인터스텔라 | 2014-11-06 | 82,291,089,200 | 10,275,484 | 1,342 |
9 | 보헤미안 랩소디 | 2018-10-31 | 86,280,975,785 | 9,948,386 | 936 |
10 | 아이언맨 3 | 2013-04-25 | 70,806,191,000 | 9,001,309 | 1,381 |
2D는 우리가 흔히 보는 평면 스크린 영화를 말한다. 일반적으로 2D로 제작되는 한국 영화는 자막을 읽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 눈이 편한 자리가 좋다. 최대한 중앙 좌석으로 앉는 게 명당이다. 그래야 음향이 일정하고 화면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볼 수 있다. 또한 중앙 좌석에서도 화면을 꽉 차게 보고 싶다면 앞쪽(C~F행)으로, 편안한 눈높이로 보고 싶다면 뒤쪽(N~P행)으로 예매하는 것을 추천한다.
자막이 있는 외국 영화는 한국 영화와 다르게 영상과 자막을 동시에 관람해야 한다. 그렇기 때문에 정중앙 좌석보다 중앙에서 좌우로 4칸 정도 떨어진 가장 자리가 더 좋다. 한눈에 볼 수 있어 눈의 피로가 줄어들기 때문이다. 특히 자막은 보통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읽기 때문에, 가장자리 중에서도 왼쪽에 앉아야 자막을 더욱 편하게 읽을 수 있다.
3D 영화는 3차원 영화로, 흔히 입체영화라고 부른다. 특수 안경을 끼면 평면적이었던 화면이 입체적으로 보여 훨씬 생동감이 있다. 이 경우 어딜 앉아도 영화 감상에 큰 차이가 없는 편이지만, 앞쪽인 C~F행에 앉는 것을 추천한다. 화면을 더 크게 볼 수 있어 입체감이 훨씬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. 3D는 2009년에 개봉했던 <아바타>가 흥행하면서 붐을 일으켰지만, 최근 4D와 IMAX의 등장으로 시들해진 편이다.
최저 임금 계산 방법 및 수당 (0) | 2023.02.27 |
---|---|
주말 가족을 위한 미니밴 패밀리카 종류 (1) | 2023.02.21 |
트와일라잇 스리즈 순서 (0) | 2023.02.19 |
세계 군사력 순위 TOP 10 (0) | 2023.02.19 |
노화 방지 DNA 수리 단백질 추천음식 (0) | 2023.02.19 |
댓글 영역